본문 바로가기

Date/NOMESS SMG

무 대감독 역활

리허설 및 공연에 있어서 무대감독의 역할

본 내용은 김영봉 (국립극장 무대감독) 씨가 “무대감독의 기능과 역할” (신동우 저) 석사논문을 발췌하여 무대예술전문인 연수 (기본 1차) 전공강의 목적으로 “작품 제작과정(리허설) 무대스탭의 역할” 이란 제목으로 편집한 것을 다시 요약 정리한 자료임. 원문에 첨가한 것은 없으나 이해를 증진시키지 위해 단락부호를 표시해 요약하였으며 내용에 손상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문장의 도치 및 띄어쓰기와 맞춤법 일부를 고쳐 썼다.

 

1. 연습 (Rehearsal)

1) 준비 단계

(1) 안내판 (Call Board) 제작

(2) 비상연락망 작성

(3) 연습일정 (Rehearsal Schedule) 작성

(4) 연습에 필요한 양식

(5) 연습 공간

(7) 연습용 소품

(8) 제작회의 (Staff Meeting) 의 진행

(9) 프롬프트 북 (Prompt Book / Prompt Script)

 

* 프롬프트 북의 개념

프롬프트 북에 포함되어야 하는 중요한 것들을 간추려 보면 아래와 같다.

① 추가와 삭제를 거친 완벽한 실제 공연대본

② 명확한 연기자들의 동작선 (Blocking) 과 설명

③ 공연의 진행에 필요한 장치, 조명, 음향, 장면전환 등의 모든 큐 (Cue)

④ 공연 중에 사용되는 연기자들과 스탭들의 연락처

⑤ 장치목록, 큐 목록, 장치작동목록, 의상목록, 조명배치도, 배역구성표 등의 모든 자료

⑥ 연습계획표

⑦ 제작회의에 대한 모든 정보와 자료

⑧ 연습일지와 공연일지

 

2) 초기 단계

(1) 첫 리허설

(2) 효과적인 공연 연습의 진행

* 출결사항의 정리

* 연습 분위기 조성

* 노트의 정리 및 연습보고서 작성

(3)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리허설의 진행

(4) 연습 종료 후의 연습장 정리

(5) 연습 진행 중의 제작스탭 회의 진행

* 무대장치

① 공연에 사용되는 덧마루는 그 위에서 연기를 하는 연기자들의 중량을 충분히 견뎌날 수 있는가?

② 연기자들이 뛰어 다니는 장면에 사용되는 기구들은 그들의 중량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안전한가?

③ 연기자가 굽이 뾰족한 신발을 신고 가구 위에 올라갈 경우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방법은 없는가?

④ 무대바닥 중에서 탭댄스 (Tap Dance)를 할 때와 같이 특별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부분은 없는가?

⑤ 소품과 가구는 특별한 시대의 형태에 적합한가?

* 의상

① 특별한 목적 때문에 보호대를 삽입해 제작해야 할 의상이 있는가?

② 주머니에 숨기거나 넣어야 하는 특별한 물건이 있는가?

③ 신속하게 의상을 교체해야 하는 장면에서 겹쳐 입어야하는 의상은 무엇인가?

④ 공연 중에 의상을 의도적으로 더럽혀야 하는 경우가 있는가?

⑤ 어느 장면에서 특수효과용 혈액을 사용하는가?

⑥ 의도적으로 몸에 안 맞는 의상을 입어야 하는 배역은 없는가?

⑦ 상대방 연기자가 잡아당겼을 때 쉽게 찢어져야 하는 의상은 없는가?

 

* 소품

① 무대상에서 등장하는 병과 잔에 실제로 내용물을 넣어야 하는가?

② 술병에 넣을 내용물은 무엇으로 대치할 것인가?

③ 공연 도중에 연기자들이 실제로 먹어야 하는 음식물은 무엇인가?

④ 연기 도중에 실제로 찢거나 구겨야 하는 종이로 만들어진 제품은 없는가?

⑤ 무대에서 사용되는 잉크는 의상을 더럽힐 수 있으므로 필기구에 잉크를 제거해야 하는가?

⑥ 램프나 라디오와 같이 무대상에서 실제로 작동해야 하는 전기 제품은 무엇인가?

⑦ 거칠게 다루었을 때 내구성이 요구되는 소품들은 무엇인가?

⑧ 연기자가 공연 중에 사용할 때 쉽게 부서지도록 미리 제작해야 하는 소품은 무엇인가?

⑨ 연기자를 실제로 가격해야 하는 소품은 무엇인가?

 

(6) 동작선의 정리

① 무대감독은 공연 연습 기간 동안에 기본적으로 연기자들의 동작선을 프롬프트 북에 정리하여야 한다.

② 방법으로는 동작선 양식화 방법(Conventional Blocking)과 동작선 도해방법(Diagram Blocking)이 있다. ③ 두 가지 방법 모두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두 가지 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기술연습/테크 (Technical Rehearsal/Tech) 와 총연습 (Dress Rehearsal)

(1) 기술연습 주 (Tech Week)의 구분

① 기술연습/테크와 총연습/드레스 리허설을 진행하는 기간을 함께 ‘기술연습 주’ 라 부른다.

② 공연 개막 10일 전부터 하루하루 기술연습/테크와 총연습/드레스 리허설과 시연회를 진행하는 것을

텐데이 카운트다운 (10-Days Countdown), 그 일정표를 텐데이 카운트다운 계획표라고 부른다.

* 페이퍼 테크 (Paper Tech)

① 연출자와 무대감독을 포함한 모든 제작스탭들이 참여한다.

② 실제 공연에 필요한 기술적, 디자인적 기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③ 이 과정에서 무대감독은 공연에 필요한 각 스탭들의 큐와 기술적 행위를 기록해야 한다.

④ 이때 모든 큐가 진행되면 연기자들의 행동과 대본 상에서의 큐의 위치, 큐를 진행하는 타이밍 (Timing)

큐 번호를 프롬프트 북의 대본에다 일차적으로 정리한다.

⑤ 이를 기본 자료로 하여 ‘최종 큐 목록 (Master Cue Sheet)‘을 작성해야 한다.

 

* 드라이 테크 (Dry Tech)

① 무대감독, 기술 스탭진 (의상과 분장 제외) 과 진행반이 참가한다.

② 공연에 필요한 큐를 맞춰보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③ 기술 스탭진은 진행반에게 대본에 정리되어 있는 각종 큐를 실행토록 하고, 문제점이 있는가를 점검

한다.

④ 연기자들이 필요한 경우도 있는데 연기자의 행위가 또 다른 기술적 요소로 간주될 경우에 한한다.

 

* 큐-기술연습 (Cue-to-Cue)

① 큐-기술연습의 진행에는 연기자들이 참여한다.

② 무대감독은 연기자에게 큐를 실행하는 대사 앞부분부터 대사를 하게하고, 큐가 실행되면 대사를 끝마치 게 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③ 만일 큐의 진행에 익숙하지 않는 부분은 반복해 연습하고 충분히 익숙한 장면은 생략하면서 진행한다.

* 전체 기술연습 (Full Tech)

① 연기자를 포함한 스탭진, 진행반 등 모든 인원들이 참가하여 기술적 요소들을 실행해 본다.

② 경우에 따라서는 무대장치 일부분이 완성되지 못했거나 또는 조명이나 음향 요소가 완벽하게 준비되지

못한 상태로 연습을 진행시키는 경우도 있다.

 

(2) 기술연습의 준비

* 기술연습 주 일정 작성

① 무대감독은 기술연습 약 2주 전부터 각 스탭들에게 기술연습 진행에 시간이 어느 정도 필요한지를

파악해야 한다.

② 또한 페이퍼 테크와 드라이 테크를 몇 번 진행해야 하는가를 상의한 후 큐-기술 연습과 전체 기술연습

의 진행 횟수와 방법 등에 대해 논의한다.

③ 작성 시 주의할 사항은 일정표 작성 시기를 기준으로 현재까지 진행된 모든 준비 사항을 현실적으로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 진행반의 준비

① 무대감독은 공연 일주일 전부터 공연 연습에 진행반을 참관시켜 공연의 진행순서에 익숙하도록 한다.

② 진행반은 나름대로 공연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익힐 수 있고 무대감독은 기술연습 주 동안의 진행반의

스케쥴을 작성하여 나눠줘야 한다.

 

* 프롬프트 북 정리

① 기술연습을 준비하기 위해서 무대감독은 프롬프트 북을 정리해야 한다.

②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은 각종 기술적인 스탭 분야의 큐를 정리하여 큐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다.

③ 연습기간 동안에 표기한 연기에 대한 노트와 조명, 음향, 장치 등의 기술적 요소에 대한 내용을 점검하 고 이것을 바탕으로 기술연습에서 사용할 모든 작동 큐를 일차적으로 대본 상에 직접 연필로 정리한다.

④ 각각의 큐를 정리하기 위해서는 큐를 종류별로 조명 큐는 LQ (Light Cue), 음향 큐는 SQ (Sound Cue)

매달아 올리는 무대장치 큐는 FQ (Fly Cue) 등으로 표기한다.

⑤ 순차적으로 정리하기 위해 열번 째 조명 큐는 LQs-10, 스무번 째 음향 큐는 SQs-20 등으로 정리한다.

⑥ 조명 큐 5번과 6번 사이에 새로운 큐를 수행해야 한다면 LQs-5.5 로 표기해서 구별하면 편리하다.

 

* 무대감독을 위한 준비

① 복장준비

- 검은색으로 노출 최소화 함.

- 필요물품을 수납할 수 있을 것.

- 손전등, 다기능 플라이어 부착할 수 있도록 허리띠 착용할 것.

- 소리를 최대한 줄일 수 있고 미끄러지지 않으며 발가락 보호할 수 있는 신발을 착용할 것.

② 무선 통신장비 (무전기와 헤드셋)

③ 무대감독용 책상에 약한 광원의 스탠드 (Light Stand)

④ 소형 손전등 (flash Light)

- 색필터를 끼우지 않은 것 : 사물 식별용

- 붉은 색 필터를 끼운 것 : 광원으로 큐를 지시할 때 사용

⑤ 스톱워치 (Stopwatch)

⑥ 레이저 포인트 (Laser Point)

⑦ 식별 테이프 (Spike Tape) 와 야광/축광 테이프 (Glow Tape)

⑧ 구급약품

 

4) 기술연습 / 테크의 진행

(1) 기술연습 / 테크에 임하는 자세

일 반적으로 실제 공연 진행 시간보다 두 배 가량의 시간이 소모되며 모든 참가자들이 정신적 육체적으 심 한 피로를 느끼게 된다. 기술연습 동안에 무대감독과 공연에 참가하는 모든 인원은 성공적인 공연의 진행 이라는 공동의 목적을 이룩하기 위해서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 무대감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무대감독 이 기술연습을 능숙하게 진행하지 못했을 경우 진행 시간은 지체되고 연기자들은 지치고 스탭과 진행반은 무대감독의 지시를 경솔하게 여기게 된다. 무대감독은 ‘봉사하고 모범을 보여줌으로써 사람들을 이끈다’는 정신적 자세를 다시 한번 가다듬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능력 여하에 따라서 연기자들과 스탭, 진행반의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도 낭비할 수도 있기 때문에 스케쥴 관리에 좀더 신경을 써야 한다.

 

(2) 기술연습 / 테크 중 공연진행반 관리

음 향 작동자 (Sound Operator), 조명 작동자 (Light Operator) 등으로 따로 지칭하기도 한다. 무대감독은 기술연습의 시작부터 끝까지 공연진행반과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무대감독이 이들을 얼마만큼 효율적으로 관리하느냐에 따라서 기술연습과 실제 공연의 성패가 달려있다. 기술연습 당 일 진행반과 스탭은 연기자들보다 1시간 정도 일직 공연장에 도착해 준비를 해야 한다. 이 때 무대감독이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은 무대장치, 조명, 음향 작동자를 훈련시키는 것이다.

 

* 장치 진행반 (Set Running Crew / Fly Crew)

① 이동식 무대장치를 작동하거나 고정되어 있는 무대장치를 막과 장별로 전환하는 진행반과 Batten에

매달려 있는 무대장치를 운용하는 진행반으로 구분된다.

② 장치진행반은 충분히 훈련해야 하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③ 또한 무대 뒤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대한 줄이고 공연 진행과 관련없는 어떤 대화도 삼가야 한다.

* 소품 진행반 (Prop Crew)

① 기술연습이 한 시간 전에 공연장에 도착해 각 막과 장별로 사용하는 소품들을 구분해 정리한다.

② 분장실, 무대 뒤 공간에 소품탁자 (Prop Table)를 배열하고 그 위에 사용되는 소품을 구별해 정렬한다.

③ 소품탁자의 윗면에는 각 장면별로 분류해 놓은 소품의 이름을 표기한다.

④ 부피가 커서 소품탁자에 배치하기 어려운 소품이나 자질구레한 소품은 사용하는 장면별로 구분해

각각의 소품상자 (Prop Box) 에 정리해 놓으면 편리하다.

⑤ 또한 소품 탁자 위에 놓여 있는 소품의 배치도를 만들어 분장실에 게시해 놓으면 많은 도움이 된다.

 

* 의상 진행반 (Costume Crew)

① 연기자가 도착하기 전에 공연에 사용되는 모든 의상들을 각 배역별로 구분해서 정리해야 한다.

② 이 때 옷걸이마다 배역의 이름을 견출지에 적어서 붙여놓고 의상 거치대에도 구획을 나누어 의상의

착용배역 이름을 붙여놓으면 의상을 혼동하지 않고 신속하게 준비할 수 있다.

③ 또한 신속하게 옷을 갈아입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조명 진행반 / 조명 작동자

① 무대감독의 큐 명령을 놓치지 않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항상 긴장 속에서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② 무대감독은 조명 큐를 위해 조명 큐 목록을 작성하고 조명 진행반은 조명 자동목록을 작성해 사용한다.

* 음향 진행반 / 음향 작동자

기술연습과 실제공연에 사용하는 음향 큐 목록에 적혀있는 무대감독의 큐 실행 신호를 받아서 음향 자동 목록을 작성하고 미리 녹음된 음악이나 음향이 들어있는 기기를 작동하는 일을 한다.

 

(3) 기술연습 / 테크의 진행

무대감독에겐 다음 몇 가지 진행 기술이 필요하다.

 

* 의사소통

① 가능하면 공식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② 분명한 발음과 정확한 어투를 사용해야 한다.

③ 전달내용을 습관적으로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

④ 상대방에게 어떤 요구를 할 때는 머뭇거리지 말고 정확하게 요구해야 한다.

 

* 휴식의 활용

① 적절하게 휴식시간을 마련하여 모든 참가자들이 잠시 쉴 수 잇도록 배려해야 한다.

② 휴식시간을 통보할 때에는 휴식시간의 길이와 다시 연습장소에 집합하는 시간을 분명히 해야 한다.

 

* 스트레스의 극복

① 기술연습 동안에 발생하는 모든 일에 인내를 가지고 대처해야 한다.

② 모든 참가자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결국 자신의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이다.

③ 진행반에게 항상 친절히 대하도록 노력한다.

 

(4) 큐의 실행

무대감독이 수행해야 하는 공연의 일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일은 큐를 실행하는 일이다.

① 큐의 실행은 통화장치로 조명, 음향, 무대장치 작동자에게 예고(Warning), 대기(Standby), 실행(Go)을

명령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 예고 (Warning) : 큐가 실행되기 약 30초 전에 작동자에게 통보하여 필요한 사항을 점검하라는 뜻이다.

- 대기 (Standby) : 큐를 실행하기 (대본 상으로) 한 두줄 전에 큐를 준비하라는 것을 의미한다.

- 실행 (Go) : 큐를 실행하라는 명령이다.

 

② 각 작동자는 무대감독의 큐 지시에 각 단계별로 응답해야만 한다.

③ '실행 (Go)'을 명령할 때는 실행에 들어가기 직전에 잠시 ‘휴지 (Pause)'를 주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④ 무대감독은 큐를 실행하기 위해서 큐의 예고, 대기, 실행을 대본 상에 미리 표시해 놓아야 한다.

⑤ 무대감독은 여러 개의 큐를 연속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⑥ 큐 중에는 여러 스탭 분야의 큐를 복합적으로 묶여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⑦ 때에 따라서는 큐 라이트 (Cue Light)를 이용하여 큐를 실행하는 경우도 있다.

⑧ 큐가 실행되는 정확한 시간 간격을 미리 약속한 경우에는 초시계 (Stopwatch)를 사용하여 큐가 실행

되는 순간을 포착해야 한다.

 

(5) 전체 기술연습/테크 후의 작업

무대감독은 기술연습을 후 다음 기술연습과 총연습/드레스 리허설을 위해 다음의 사항을 정리한다.

① 연출자에게 지난 기술연습의 전반적인 인상과 연출상의 문제점과 기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질문한다.

② 연출자가 연기자들에게 노트를 줄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야 한다.

③ 무대감독은 공연 진행반에게 노트를 해야 한다.

④ 기술연습에 사용된 장비와 기구를 다음 기술연습을 위해 정리하고 파손되고 손실된 부분을 파악한다.

⑤ 연기자와 진행반에게 다음 기술연습과 총연습 일정을 다시 한 번 통고한 후에 귀가시켜야 한다.

⑥ 기술연습의 진행과 마무리 후에는 그날 끝낸 기술연습을 정리해야 한다.

 

(6) 총연습/드레스 리허설

총연습/드레스 리허설은 실제 공연과 같은 조건 하에서 시행해보는 기술연습 주의 마지막 연습이다.

이 때 무대감독은 다음의 사항에 신경을 써야 한다.

① 의상의 변화가 많은 장면에서 의상의 전환 시간을 얼마나 단축할 수 있느냐이다.

② 무대감독 보조와 함께 각 스탭 분야 별로 준비사항과 안전사항에 대해 점검한다.

③ 모든 조건이 실제 공연과 동일한 상황에서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④ 총연습이 종료되고 모든 준비 사항을 점검한 후 연기자와 공연 진행반에게 다음 일정에 대해 설명한

후에 귀가시킨다.

 

 

2. 시연회 (Preview Night)

시 연회 (Priview) 란 공연 전 하루나 이틀 동안에 실제 공연과 같은 조건 하에서 공연을 진행하는 것이다. 시연회 공연은 입장료 없이 무료로 진행되는 것이 보통이다. 관계자들이 지적한 공연 진행상의 부족한 점 이나 공연 내용 중 이해하기 힘든 부분에 대해 의견을 나누며 실제 공연에 반영할 점이 있으면 연출자의 판단에 의해서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무대감독에게 있어 시연회는 전 단계인 총연습 /드레스 리허설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경험이 될 것이다.

(1) 실제 관객이 있는 상태로 공연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인원들은 극도로 긴장된 상태이다.

(2) 따라서 무대감독은 자신의 정신적, 육체적 긴장을 효과적으로 조절해야 한다.

(3) 뿐만 아니라 두려움을 가직고 있는 연기자를 안정시키고 공연스탭들에게 정확한 큐를 실행시켜야 한다.

(4) 무대감독은 여유를 가지고 무대에서 일어나는 상황과 특히 공연을 보고 관객들이 웃는 부분과 슬픔에

공감하는 부분에서는 관객들의 반응을 적절하게 고려하여 큐를 명령해야만 공연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살릴 수 있다.

 

 

3. 공연 (Opening Night)

공 연이 시작되는 첫날은 모든 사람들이 긴장과 초조감으로 신경이 극도로 예민해진다. 특히 공연을 책임지 고 있고 모든 사람들을 혼자 상대해야 하는 무대감독은 더욱 신경이 예민해지기 쉽다. 그럴수록 더욱 신경 질적인 면을 보여주어서는 안 된다. 연기자와 진행반은 무대감독을 피하게 되어 통제하기가 어려워지고 또 한 지나치게 긴장해서 더 많은 실수를 유발하게 된다. 공연을 진행한다는 것은 그 동안 수 없이 반복된 공 연연습을 다시 한번 진행하는 것이어서 긴장은 하고 있으면서도 실제 진행은 일상적으로 진행되기 쉽다. 따라서 공연기간 동안 매 공연마다 항상 새롭고 창조적인 공연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1) 공연 전 준비

무대감독이 공연 시작 전 반드시 점검해야할 사항들은 아래와 같다.

(1) 모든 진행반의 위치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2) 공연에 사용되는 무대장치와 소품, 의상을 점검하고 조명, 음향 작동자에게 기구를 점검시켜야 한다.

(3) 무선 통신장치와 책상위의 조명기가 제대로 작동되는지 확인해야 한다.

(4) 무대 위를 깨끗이 청소해야 한다.

(5) 연기자들과 진행반의 출석사항을 정확하게 확인해야 한다.

(6) 연기자들의 귀중품을 수거해서 안전하게 보관해야 한다.

(7) 공연에 참가하는 전 참가자의 호출기 휴대전화기를 수거해서 전원을 끈 후에 안전하게 보관한다.

 

2) 공연의 진행

무대감독이 공연에 있어 단계적으로 진행해야할 사항들은 아래와 같다.

(1) 스탭은 공연 2시간 전 연기자는 1시간 30분 전에 집합시키는 것이 좋다.

(2) 무대감독은 공연 진행반에게 준비사항을 점검하게 하고 연기자에게 목과 몸을 풀고 분장을 하게 한다.

(3) 객석개방 15분 전 모든 참가자에게 성공적인 공연을 위한 당부를 하며 마음의 준비를 하는 자리를 마련 하는 것이 좋다.

(4) 모든 연기자와 진행반에게 공연이 시작되기 30분 전, 15분 전, 5분 전이라고 공연시간을 확인해 준다.

(5) 공연 30분 전 관객 입장조명으로 전환시키고 관객 입장음악 (House Music) 을 작동한다.

(6) 관객을 입장시키기 전에는 반드시 무대 위와 무대 뒤, 분장실의 상태를 점검하고 입장시켜야 한다.

(7) 공연 5분 전에 진행반과 연기자를 공연 시작 위치에 대기시킨다.

(8) 정해진 개막 시간이 되어도 바로 공연을 시작하지 말고 극장 로비와 분장실, 조명실, 음향실의 준비

상황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난 후에 공연 시작을 알리는 첫 번 째 큐를 명령해야 한다.

(9) 최종적으로 진행반 중 객석 책임자의 관객입장 완료 신호를 확인한 후에 공연을 시작해야 한다.

(10) 일단 공연이 시작되면 대본과 큐 목록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큐를 명령하여 공연을 진행한다.

(11) 공연이 끝난 후 반드시 공연일지를 작성한다. 공연일지에는 그날 공연의 개막 시간과 폐막 시간, 공연 에서의 문제점, 지각한 인원, 공연의 완성도 등 당일의 공연에 대한 모든 정보를 기록해야 한다.

* 공연 중 발생하는 문제의 해결

① 공연이 시작되고 난 후 극장에 도착한 관객을 입장시키는 문제

- 공연 시작 전 객석 책임자와 지각한 관객의 입장에 대한 회의를 하여야 한다.

- 공연 시작 후 5분 동안은 공연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간이기 때문에 지각한 관객을

입장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도입부 장면이 끝난 후가 적합하다.

- 일단 공연이 시작되면 객석책임자는 지각한 관객들을 극장 로비에 대기시킨 후 무대감독에게 입장시킬

시기를 확인한 다음 입장시켜야 한다.

 

② 공연 도중 무대장치가 파손된 경우

- 연기자의 연기에 치명적인 방해가 된다거나 관객들이 부서진 무대장치에 신경을 쓴다는 판단이 되면

관객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공연을 잠시 중단하고 무대장치를 응급 복구한 후에 공연을 재개한다.

- 파손 정도가 심하지 않아 연기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공연을 계속 진행하고 휴식 시간을

이용해서 응급 복구를 해야 한다.

- 경우에 따라서는 공연을 중지하지 않고 장치 진행반이 관객의 시선을 무시한 채로 무대에 나가 신속

하게 처리할 수 있다.

③ 공연을 진행하는 도중에 무대 위에서 연기자들이 부상을 입게 된 경우

- 부상 정도가 가벼워 장면을 끝내고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퇴장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스스로 퇴장 하도록 한 후에 대역 연기자를 투입시켜 계속 공연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 부상 정도가 심하다고 판단되면 관객에게 양해를 구한 후 15분 가량 공연을 중단하고 진행반을 무대

위로 투입해 부상당한 연기자를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고 응급조치를 한 후에 가까운 병원으로 후송

하도록 한다.

 

3) 무대 철거 (Strike)

무 대철거는 공연이 끝나는 날 밤 또는 다음날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무대를 차례대로 해체하여 폐기할 것 들은 쓰레기로 분류하여 처리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장치와 부품들을 창고에 정리해 놓고, 극장을 깨끗하 게 청소하는 것까지의 과정을 의미한다. 무대감독은 무대 철거계획을 작성한 후에 공연이 끝나면 철거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통보하고 순서에 따라 철거 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효과적으로 작업 인원을 배정 하여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